반응형

전체 글 287

0427 _ NGUI 스크롤 뷰 만들기

NGUI에서 스크롤뷰를 만들어봅시다. 먼저 기본적인 가이드와 bg, 스프라이트 어셋을 만들어 줍니다. 기본적인 세팅 NGUI 크리에이트에서 스크롤뷰를 만들어줍니다. 스크롤뷰를 만들고, 스크롤이 될 부분의 패널을 지정해줍니다. 스크롤뷰 안에 그리드를 만들어줍니다. 그리드 안에 게임 아이템이 될 빈 게임오브젝트를 만들어줍니다. 게임오브젝트 안에 스프라이트를 만들어서 UI를 만들어줍니다 . 아이템은 꼭 0 0 0 이여야함. 그래야지 그 지점에서 생성이 되면서 그리드에서 스페이싱을 늘리면 잘 자리를 차지한다. UIItem를 여러개 복사해봅니다. 그리드 테스트를 위해서 그리드에서 셀 와이드를 늘리면 쭉 늘어난다. 아이템에 ★Box Collider와 ★Drag Scroll View 컴포넌트를 달아준다. 박스콜라이더..

0426 _ NGUI 기본적인 내용 // Title 생성

NGUI UGUI만든팀이 만든거라서 비슷함 캔버스 = UI Root UI Root를 만들면 알아서 카메라가 달린다. 메뉴 NGUI -> 스프라이트나 기능을 넣으면 알아서 UI Root에 카메라가 생김 UI Root 레이어 UI로 바꾸기 Root -> 스케일링 스타일 - 콘스트레인 온 모바밀- 사이즈 맞추기 뎁스 관리를 Panel = 오더인레이어(UGI) 패널에있는 뎁스로 관리 패널에 뎁스가 있고, 위젯에 뎁스가 있음. 순서 상관없이 뎁스의 숫자로 관리를 해준다. ★이미지가 바로 안들어감 아틀라스르 만들어줘야함 어셋 -> 아틀라스 폴더만들기 -> 오른쪽클릭 -> NGUI -> 오픈 아틀라스 메이커 원하는 이미지 누르고 크리에이트하면, 아틀라스메이커 안에 아틀라스 어셋이 들어간다. ★아틀라스어셋이 생긴다. ..

0423_스크롤 상점 데이터 연동하기

먼저 스크롤을 만들어 줍니다. 스크롤을 만들어주고, 안에 있는 아이템을 프리팹을 해줍니다. 1. 데이터를 만들고, 데이터를 맵핑 해줄 클래스를 만들어줍니다. 2. DataManager(싱글턴)에서 데이터를 로드하는 메서드를 만들어줍니다. 관리를 해주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데이터를 역직렬화 해주어서 딕셔너리에 넣어줍니다. 2.관리를 해주는 메인 스크립터를 만들어줍니다. 스크립터에서 변수를 만들어줍니다. shopItemPrefab; -> 만들어줄 프리팹 contents -> 프리팹을 넣어줄 컨턴츠 atlas -> 프리팹에 이미지를 바꿀 아틀라스 3. 관리해주는 곳에서 아이템을 넣기전에 아이템에 대한 클래스를 정의 해줍니다. public Image icon; public Text txtAmount; public..

0423 _ 스크롤에 만든 데이터 불러오기

스크롤 만들었다.. 데이터불러오기 테이블 부터 만들기 필요한 것을 먼저 정리한 후 Json 파일로 만들어준다. 맵핑할 스크립터를 만들어준다 . 관리를 해줄 데이터매니저를 만들어서 로드를 해준다. 데이터는 리소스 폴더에 넣어 줌 데이터 로드를 끝나면 -- 로드가 끝나면 아이템의 프리팹을 만들어보고, 로드된 데이타가 잘 출력되는지 확인을 한다. 0.먼저 아이템프리팹에 스크립터를 달아주고, text 변수를 넣어서 Init에 받아서 변경시켜준다. Init 으로 외부(상위 클래스)에서 전달을 받으면 텍스트를 변경 시켜준다. 1. 관리해주는 스크립터에서, 프리팹을 달아주고, 값을 전달해준다. public GameObject listItemPrefab; public Transform contents; 생성할 프리팹을..

0422_UILevelUp 애니메이션 만들기

목표 레벨업을 하는 UI를 만든다음에 애니메이션을 하는 것을 만들 것이다. 0. 먼저 가장 뒤에 있는 bg의 ui를 만들고 (order 0) 가장 바깥쪽에 있는 Main 캔버스를 만들어서 작업을 한다.(order 3) 그 다음 UIeff 캔버스를 만들어준다. (order 2) 이렇게 만들어야지 애니메이션을 따로 줄 수도있고, 이펙트와 메인의 위치가 겹치지 않는다. 1. 메인의 애니메이션 키를 잡아준다. 메인과 이펙트의 애니메이션을 잡았다면 스크립터를 생성한다. 2.생성된 스크립터에 버튼을 누를시 애니메이션이 나오게 한다 . 애니메이션이 잘 작동하는걸 볼 수 있다. 3. 애니메이션이 플레이 될 때 이펙터도 같이 나오게 한다. 이벤트를 달아서 호출한다.

반응형